Notice: Undefined index: HTTP_ACCEPT_ENCODING in /home/inswave/ins_news-UTF8-PHP7/sub_read.html on line 3
겨울철 물새류,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만 마리 도래:생태환경뉴스
로고

겨울철 물새류,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만 마리 도래

-가창오리, 청둥오리 등 오리류가 62% 차지,
-큰기러기 및 쇠기러기 증가하고 청둥오리 및 흰뺨검둥오리 감소 추세 확인

Eco-Times | 기사입력 2024/03/21 [10:17]

겨울철 물새류,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만 마리 도래

-가창오리, 청둥오리 등 오리류가 62% 차지,
-큰기러기 및 쇠기러기 증가하고 청둥오리 및 흰뺨검둥오리 감소 추세 확인

Eco-Times | 입력 : 2024/03/21 [10:17]

 

 

(가창오리)

 

▲ 쇠기러기

 

▲ 큰기러기

 

 

▲ 어천역(화성시 매송면) 앞 논에서 먹이 활동 하는 큰기러기

 

국립생물자원관(관장 서민환)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130만 마리의 물새류가 겨울철 우리나라를 찾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.

 

국립생물자원관은 2015년부터 전국 200곳의 습지를 대상으로 겨울철 조류 동시조사(센서스)*를 실시하고 있으며, 최근 10년(2015~2024년)간 동시조사를 분석한 결과, 오리류가 연평균 81만 마리(62.3%)로 가장 많았고, 다음으로 △기러기류(23만 마리, 17.7%), △갈매기류(12만 마리, 9.6%) 순으로 나타났다.

* 1999년 주요 철새도래지 69곳을 시작으로 2015년부터 200곳으로 확대

 

우리나라에 도래한 겨울철 조류는 주로 넓은 농경지와 호수, 저수지, 강에 서식하며, 하천이 많은 우리나라 중서부 지역의 △금강호, △동림저수지, △철원평야, △만경강, △임진강 등에서 겨울을 보냈다.

 

10년 평균으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종은 가창오리(37만 3,946마리)였으며, △청둥오리(17만 2,058마리), △쇠기러기(13만 4,261마리), △흰뺨검둥오리(9만 3,890마리), △큰기러기(9만 1,978마리) 순으로 조사됐다. 가창오리의 개체수는 10년간 큰 변화는 없었으나, 큰기러기와 쇠기러기는 각각 47% 및 78%가 증가*하고,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는 각각 7%와 2%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▲ 청둥오리

 

▲ 흰뺨검둥오리

 

같은 기간 멸종위기 야생생물 중 △두루미, △재두루미, △흑두루미, △큰고니, △노랑부리저어새의 개체수는 적게는 42.8%(큰고니)에서 많게는 646%(흑두루미) 등 꾸준히 증가했다. 이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에서 번식지와 월동지의 서식지를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먹이 주기 등 보전을 위해 노력한 국제협력의 결과로 추정된다.

 

연구진은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주요 겨울철 물새류의 개체수 변화가 기후변화 등에 영향을 받은 번식지의 서식 환경이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중국, 일본, 러시아 등 주변 국가와의 공동 연구 및 협력을 통해 구체적인 변화 양상 및 원인을 분석할 예정이다.

 

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“장기적인 물새류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은 물새류 월동지로서 우리나라의 습지 환경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준을 제공한다”라며, “향후 지속적인 조사와 분석을 통해 물새류와 서식지를 보전하는 데에 기여할 계획”이라고 밝혔다.

 

 

생태환경뉴스 Eco-Times / 홈페이지: eenews.kr

Eco-Times 장영현 기자sun@du.ac.kr 

 

 

  • 도배방지 이미지

광고
광고
광고